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  
  •  
> GWINSTEK >

디지털 오실로스코프 GDS-3000A 시리즈

  • 650MHz /350MHz 대역폭, 2채널
  • 5GSa/s 리얼 타임 샘플링 속도(단일 채널); 2.5GSa/s 리얼 타임 샘플링 속도(듀얼 채널)
  • 채널당 200Mpts 메모리 댑스
  • 200,000 wfm/s 파형 업데이트 속도
  • 10.2 인치 800*480 TFT LCD 디스플레이
  • 490,000 세그먼트 메모리 및 파형 검색 기능 : 레코드 길이의 효율성을 최적화
 온라인 견적요청

GDS-3000A 시리즈는 GW Instek의 최신 디지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 제품으로,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파수 대역: 최고 주파수 대역은 650MHz로, 350MHz 모델도 있습니다.

2. 메모리 댑스: 각 채널당 최대 200Mpts로, 샘플링 속도는 5GSa/s 입니다.

3. 디스플레이: 10.2" TFT LCD이며 RGB 디스플레이 출력은 각각 8비트로 측정된 신호의 강도 분포를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4. 로직 분석기: 16채널 로직 분석기가 옵션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5. 측정 기능: 38가지 측정항목이 제공되며, 정밀 스케일 기능이 통합되어 있습니다.

6. 파형 업데이트 속도: 200,000wfm/s로, 산발적인 이상 신호들을 쉽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7. 분할된 메모리: 최대 490,000개의 세그먼트를 연속적으로 캡처할 수 있으며, 마스크 기능을 통해 빠르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8. 주파수 영역 측정: FFT 측정 기능과 듀얼 채널 스펙트럼 분석기를 제공하여 신호의 스펙트럼 특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9. 전원 공급 장치 테스트: 다양한 측정 항목 옵션을 제공하여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10. 임의 파형 발생기: 표준 듀얼 채널 25MHz 임의 파형 발생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다양한 신호 출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GDS-3000A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신호 분석 및 측정을 위한 강력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자기부품의 동적자기이력곡선 (B-H)곡선 만드는 방법

 

자속밀도(Magnetic Flux Density (B)) 자계강도(Magnetic Field Strength (H)) 생성하기 위한 디지털 오실로스코프 사용법을 상술하며

정적(정현파) 자기이력곡선(B-H곡선)측정과 동적 여기원(Excitation Source)측정 사이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인덕터와 변압기는 전원회로내에서 공통적인 자기 부품이며, 에너지 저장과 에너지 변환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자기부품들은 권선(Winding) 자기 철심(Magnetic Core)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μ)), 온도특성

주파수 특성과 자성체(Magnetic Material) 구조는 자기부품의 상세사항을 결정합니다.

  

 

 



잔류자기(Magnetic Remanence (Mr)) 또는 유지력(Remanence (Retentivity))

외부 자계(Magnetic Field) 세기가 감소할 , 자기 쌍극자의 세기(Magnetic Dipole Strength) 역시 약해질 것입니다.

외부 자계(Magnetic Field) 0으로 떨어질 , 자성체의 자기 쌍극자의 세기(Magnetic Dipole) 0 되지 않을 것이고 약간의 자화를 유지하고 있을 것입니다.

외부 자계(Magnetic Field) 반대방향으로 증가할 , 잔류 자화강도(Magnetization Intensity (M)) 다시 감소합니다.

오직 외부 자계(Magnetic Field) 반대 방향으로 어느 정도 상태에 도달할 남아있는 자기 쌍극자가 사라지게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자화 강도가 0 됩니다.) 자계(Magnetic Field) 강도가 반대 방향으로 적용되면 보자성(Coercivity), Hc 라고 부릅니다.

외부 자계(Magnetic Field) 반대 방향으로 계속 증가한다면, 자성체는 0 아닌 비잔류 자화강도(Magnetization Intensity) M 만들어낼 것입니다

외부 자계(Magnetic Field) 강도와 방향이 변할 , 자성체(Magnetic Material) 자기 쌍극자(Magnetic Dipole) 특정하게 변할 것이고

이것을 자기이력곡선(히스테리시스 곡선 또는 B-H곡선)이라 부릅니다.

정적(정현파)이력곡선(B-H곡선)측정과 동적 여기원(Excitation Source)측정의 차이점

정적인 측정은 기원(Excitation Source) 같이 고정된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자화부품(Magnetic Components) 설계목적은 최대치 전류의 상황에서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이고, 그것은 자기 포화가 일어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실제 최대 여기전류(Excitation Current) 실제동작상태를 얻기 위해서 실제적 동적 전류파형에서 측정되어야 합니다. 실제 동작상태는 실제온도 조건들을 포함합니다.

자성체(Magnetic Substance) 퀴리온도(Curie Temperature) 가지고 있습니다. 물질의 퀴리온도(Curie Temperature) 다릅니다

자성체(Magnetic Substance) 퀴리온도(Curie Temperature) 초과할 , 자기 쌍극자들(Magnetic Dipoles)내부의 물질은 그들의 

배열로부터 이탈하여 나올 충분한 에너지를 얻을 것이며, 순서대로 배열된 방향에서 무질서한 배열로 변하고 자성은 사라질 것입니다. 

아래의 화면들은 MOSFET 여러가지 스위칭 사이클들의 측정 결과들을 보여줍니다

GDS-3000A 자기이력곡선(B-H곡선)측정 결과들은 L사 제품 WaveRunner 8108HD 시험 결과에 근접합니다

 

  

​​     <GWISNTEK GDS-3000A 자기이력곡선(B-H곡선) L사 제품  : WaveRunner 8108HD 비교>